JS에서 함수(function)란?
함수 호출 : 함수를 사용하는 것
함수 호출할 때는 괄호 내부에 자료(data)를 넣는다. 여기서 자료는 매개변수
익명 함수 : 이름이 붙어있지 않은 함수
선언적 함수 : 이름이 있는 함수
함수 사용의 좋은점
- 반복 작업을 피하고, 모듈화 되어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진다.
- 기능별 (함수별)로 수정이 가능해 유지보수 쉽다.
매개변수와 리턴값
리턴값 : 함수의 최종 결과
함수 형태
function 함수 (매개변수, 매개변수, 매개변수)
{
문장
문장
return 리턴값
}
함수에 넣는 input이 매개변수이고, 결과로 나오는 output이 리턴값
기본 미션
윤년을 확인하는 함수 만들기 윤년이면 true 아니면 false
윤년 : 보통 2월은 28일까지 있지만 29일까지 있는 해를 의미
- 연도가 4의 배수이면서, 100의 배수가 아닐 때
- (또는) 400의 배수일 때
<script>
const input = prompt('year : ','년도 입력')
const year = Number(input)
function leapYear(year){
return (year %4 ===0) && (year % 100 !== 0) || (year % 400 ===0)
}
alert(`${year}년은 ${leapYear(year)}`)
</script>
약간 코드를 더해서 입력값을 받아 윤년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.
2021년은 윤년이 아니다.
조금 응용한 코드
<script>
const input = prompt('year : ','년도 입력')
const year = Number(input)
function isLeapYear(year){
if ((year %4 ===0) && (year % 100 !== 0) || (year % 400 ===0))
return alert(`${year}년은 윤년이다.`)
else
return alert(`${year}년은 윤년이 아니다.`)
}
isLeapYear(year)
</script>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9 -1 자바스크립트 - 객체 지향, 추상화, 객체 처리하는, 생성하는 함수 (0) | 2021.03.06 |
---|---|
07 -1 문서 객체 조작하기(1) - DOMContentLoaded, 문서 객체 가져오기, 글자 조작, 속성 조작 (0) | 2021.03.03 |
03 -2 자바스크립트 조건문 switch - case, 삼항 연산자 (0) | 2021.02.17 |
04 -1 자바스크립트 배열, push(), splice() 메소드 사용 (0) | 2021.02.14 |
02 -3 자바스크립트 문자열 입력, 불(bool) 입력, 자료형 변환 함수 (0) | 2021.02.11 |